2023년 출산율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국민으로써 걱정도 되고 계속 관심이 갈 수 밖에 없는 주제인데요.
이 출산율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아시나요?
오늘은 빠르게 출산율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산율 계산법
출산율이란?
보통 뉴스에서 말하는 출산율은 합계출산율을 의미합니다. 오늘 알아볼 출산율 계산법도 정확히 말하자면 합계출산율 계산법이구요.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가임기간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합계 출산율 계산법
계산법은 15~49세의 연령 별 출산율의 총 합입니다.
이때 연령 별 출산율은 해당 연령이 낳은 아기 수 / 해당 연령의 여성 수 입니다.
자주 하는 오해로는 합계출산율이 당해 전체 출생아 / 당해 15~49세 여성 인구라고 착각해 상대적으로 인구 수가 많은 세대가 지나가면 자연스럽게 출산율이 오른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계산식을 보면 연령 별 출산율의 합이므로 잘못된 정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2년 합계출산율 직접 구해보기
저도 궁금증이 생겨 합계출산율을 직접 계산해보았습니다.
2023년 합계출산율을 구해보고 싶었지만 아직 2023년 15세~49세 연령 별 출생아 수 자료를 찾지 못해 2022년 합계출산율을 구해보았습니다.
통계청의 2022년 합계출산율은 0.778입니다.
2022년 출생아 수는 한국여성적책연구원의 출생아수별 출생(성/모의 연령별)을 15~49세 여성 인구는 통계청의 시군구/성/연령(1세)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참고하였습니다.
엑셀을 통해 아래와 같이 한 번 구해보았습니다.
15 세가 낳은 아이 수/15세 여성 인구 수 + 16 세가 낳은 아이 수/16세 여성 인구 수 + … + 49 세가 낳은 아이 수/49세 여성 인구 수를 쭉 더해서 계산한 것인데요.
제 결과값은 0.777794가 나왔습니다. 반올림하면 0.778 이 맞네요!
마치며
오늘은 출산율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직접 계산해보니 확실히 출산율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시금 꼭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는 생각이 드는 하루네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블로그의 다른 글을 보고 싶으시다면?
👍 유심 이심 도시락 와이파이 장단점 비교해보기! 1분 요약 구매 방법 포함